
리체내과신경과 부설
신경언어인지치료실


저희 언어치료 센터는 신경언어장애 진단을 위한 다양한 검사 장비를 갖추고 있으며, 뇌신경계 질환으로 2차적으로 언어장애가 생긴 환자와, 학령기 이상의 언어장애 환자를 대상으로, 언어치료에 집중할 수 있도록 시설 및 인테리어에 많은 신경을 썼습니다. 특히 기억력 저하 환자에게 공동 연구진( Soundmind) 과 같이 개발한 치매 인지치료 프로그램과 언어 인지치료를 병행하여 치료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습니다. ( 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nzpcNtrWBko )
리체 신경언어인지치료실에서는 1:1 맞춤형 집중 치료를 진행하며, 상황에 따라 온라인 비대면 치료를 병행할 수 있습니다. 자세한 상담과 평가는 리체 신경언어인지치료실로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.
2025년 6월2일 오픈예정입니다.


치료대상군
1. 성인 치료 대상
• 기억 및 인지 장애
→ 알츠하이머성 치매, 혈관성 치매, 경도 인지장애 등 퇴행성 질환으로 언어 이해 및 표현이 저하된 상태
• 실어증
→ 뇌졸중, 뇌염, 뇌암 등 뇌 손상으로 인해 언어 이해 및 표현이 저하된 상태
• 마비말장애
→ 파킨슨, 다발성 경화증 등 구강 운동 기능 저하로 의사소통 및 삼킴(연하)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
• 말실행증
→ 뇌손상으로 인해 정확한 말 산출에 어려움이 있는 경우
• 음성장애
→ 목소리가 잘 나오지 않거나, 음성이 왜곡되어 전달되는 경우
• 연하장애
→ 잦은 사레들림, 삼킴 곤란 등 연하 기능이 저하된 경우
2. 만 6세 이상의 아동 및 청소년 치료 대상
• 고기능 자폐범주성장애(ASD) 아동 및 청소년
→ 사회적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
• 문해력 저하 및 학습 관련 언어 문제
→ 난독(읽기 어려움), 난서(쓰기 어려움) 등 학습 언어에 어려움을 보이는 경우
• 부정확한 조음
→ 발음이 부정확하여 의사소통이 어렵거나 타인이 이해하기 힘든 경우
• 보완대체의사소통(AAC) 체계가 필요한 경우
→ 구어(말)로 의사소통이 어렵거나 불가능하여 AAC 도구 및 체계의 사용이 필요한 경우
언어치료와 함께 필요시 신경과적 약물치료를 병행합니다.